안녕하세요.
곰실장입니다.
3기 신도시 시리즈(?)가 좀 오랜만이죠?
이전에 하남 교산지구, 과천 과천지구, 고양 창릉지구 등을 체크해 봤고,
이번에는 3기신도시 중에서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남양주 왕숙1지구를 살펴 보겠습니다.
왕숙2지구는 바로 옆이긴 하지만,
따로 체크할 부분도 있고 하니 이번에는 왕숙1지구만 볼 예정입니다.
정식명칭은 '남양주왕숙 공공주택지구' 입니다.
면적은 866만㎡로, 약 262만평 가량 되죠.
판교 신도시보다 조금 작겠네요.
판교신도시가 270만평 정도 되니까요.
여기에 사실상 한 세트(?)인 왕숙2지구가 더해지면
330만평이 넘게 됩니다. 왕숙2지구가 72만평 정도니까요.
(물론 왕숙1지구 만으로도 가장 큰 규모의 신도시이긴 합니다만)
3기 신도시가 모두 그러하듯이,
왕숙1지구 역시 서울의 인구와 교통을 분산시키기 위한 입지를 갖추고 있습니다.
서울시의 경계까지 약 3.5km 밖에 안되죠.
왕숙1지구의 예정부지에는 경춘선이 지나고 있으며
GTX-B노선이 관통할 예정입니다. 물론 이는 시간이 좀 있어야겠죠.
그리고 직접적으로 닿아있지는 않지만 영향을 미치는
별내선(8호선 연장), 진접선(4호선 연장), 경의-중앙선 노선등과 인접해 있습니다.
거기에 최근에 9호선 연장까지 결정되면서,
어찌보면 덩치만 컸지(?) 흥행은 가능할까 싶었던 왕숙지구는
지금 핫플레이스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일단 철도망이 훌륭하니까요.
인근에 별내신도시, 다산신도시 등이 인접해 있어
기본적인 인프라도 썩 괜찮은 편이고, 인구유입 요소도 제법 좋은 편입니다.
이 왕숙1지구의 주택 및 인구계획은,
주택 5만 4천호를 지을 예정이고 인구 12만 6천여명을 수용할 수 있습니다.
2기 신도시에 비해서 면적 대비 인구수용률이 높아졌는데,
도시 전체의 용적률이라던가 하는 부분이 차이가 있을 겁니다.
광교신도시가 11,304,494㎡(약 340만평)부지에 7만 8천여명 정도를 수용했고
판교신도시는 8,924,631㎡(약 270만평)부지에 8만 8천여명 정도를 수용하니까요.
참고로 광교신도시 전체 용적률이 165%, 판교신도시 전체 용적률은 159% 입니다.
260만평에 12만 6천명을 수용하는 왕숙1지구를 비교해 보니까 느낌이 좀 오시죠?
3기신도시 자체가 서울의 인구를 최대한 분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용적률을 상향시켜 고밀개발을 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그럼 이번에는 왕숙1지구의 토지이용계획도를 확인해 볼까요.
아래 이미지를 보시죠.
왕숙1지구의 토지이용계획도 입니다.
전체적으로 공원의 연두색이 강렬하죠.
도시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하천의 모습도 인상적입니다.
그리고 도시 남단에 보라색 자족용지 등이 대거 몰려있는 곳이
경춘선 역사가 새로 만들어질 곳입니다.
차후 GTX-B의 정거장이 되기도 할 예정이죠.
이번 3기 신도시는,
'역세권' 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습니다.
이전까지 역세권은 철도역 바로 옆에는 상업지가, 인근에는 주거지가 있다- 는 정도였지만
3기 신도시를 선봉으로 하여, 앞으로 만들어질 역세권은 '역사'를 중심으로
복합개발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죠.
도심의 중앙부에는 공동주택 부지들이 몰려 있네요.
신도시가 다 조성이 된다면, 장관이겠지요.
어떤 분들은 아파트가 다닥다닥 붙어 있어서 싫다- 하시기도 하지만,
개인적으로 자연미를 아끼는 만큼 인공미도 좋아하니까요.
그렇다면,
저렇게 주거지역, 상업지역 등 다양한 토지이용계획이 잡혀 있는
왕숙1지구의 지금 모습은 어떠할까요?
다른 신도시들과 다를 것 없이,
현재는 논과 밭으로 이루어진 드넓은 벌판입니다.
비닐하우스로 빼곡하네요.
기본적으로 신도시 지정시에는
임야들을 대부분 제외하고, 논밭 위주로 지정하고 있는데
이 때문에 고양 창릉지구 등의 모양새가 좀 이상하긴 하죠.
이제 마지막으로 왕숙1지구의 광역교통 대책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종류가 굉장히 많죠?
3기 신도시의 특징 중 하나가, 전체 사업비의 20% 이상을 교통대책에 사용합니다.
작은 규모는 아니죠.
그래서 그 인근의 주거지역들도 덩달아서 혜택을 보는 경우가 많이 생길 겁니다.
숫자, 가나다 별 내용은 아래 이미지 참고하세요.
참고로
그림상의 '라'- 이 범례에서 강동~하남~남양주간 도시철도 건설이라 되어 있는데,
이것이 9호선 연장선이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왕숙지구의 경우에는,
서울과의 연계도 물론 무척 중요하지만
인근 구리시라던가 남양주 내에서도 별내, 다산신도시 등과의 연계도 중요합니다.
교통망들의 연결상태를 보면 충분히 짐작이 가지요.
왕숙지구는 경춘선, 경의-중앙선, 4호선 연장(진접선), 8호선 연장(별내선), 9호선 연장, GTX-B 노선 등
여러 노선과 직간접 적으로 연결되는 신도시이기도 합니다.
철도부자네요.
이상으로 남양주 왕숙1지구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최근에 남양주 왕숙지구 인근에
추가 공공주택지구를 계획하면서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대거 묶인 곳이 있는데,
그 부분은 왕숙2지구 관련 포스팅에서 체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가 되셨다면 좋겠네요.
오늘도 좋은하루 되세요!
'곰실장의 부동산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 대책 공급물량에만 적용되는 '청약시스템' 체크 (0) | 2021.02.14 |
---|---|
[국세청 100문 100답] 1. 양도소득세법 주요 개정내용 (0) | 2021.02.14 |
2.4 공급대책 내용 정리 (0) | 2021.02.13 |
[3기 신도시] 과천 과천신도시 (과천지구), 알아봅시다. (0) | 2021.01.11 |
'지방 소멸' 위기와 국가균형발전 (0) | 2021.01.10 |
댓글